라벨이 가정에는예배가 있어야 한다.인 게시물 표시

하늘의 모형 성막2(성소와 지성소)

 4가지의 덮개로 덮여진 성소는 거룩한 장소로 하나님이 보좌를 의미합니다. 성소는 이동이 가능합니다. 긴 널판을 이어서 만들었으며 가로는 30규빗, 넓이는 10규빗, 높이 10규빗입니다. 성소안에는 또 다른 10규빗의 정사각형 방을 만들고 이곳을 지성소라고 합니다. 하나님이 임재하시는 거룩한 장소입니다. 1. 성소에는 무엇이 있을까? 성소에 들어서면 오른쪽으로 떡상이 놓여 있고 왼쪽으로 일곱 개의 금촛대가 있으며 문에서 마주 보는 가운데에는 금향단이 있고 그 뒤로 휘장이 드리워져 있습니다. 1) 떡상 진설병을 두는 상은 길이 2규빗, 넓이 1규빗, 높이 1.5규빗으로 12개의 무교병이 진설됩니다.  이 떡은 안식일마다. 새로운 떡으로 바꾸어 놓았고 이 떡상은 신 광야의 만나를 형상화 했으며 생명의 떡이 되시는 예수님을 상징하기도 합니다.  출 25:23 너는 조각목으로 상을 만들되 길이는 두 규빗, 너비는 한 규빗, 높이는 한 규빗 반이 되게 하고 출 25:24 순금으로 싸고 주위에 금 테를 두르고 출 25:30 상 위에 진설병을 두어 항상 내 앞에 있게 할지니라 2) 등잔 대 등잔 대는 금촛대라고도 하는데 살구 꽃 형상으로 만들었습니다. 원어로는 '솨케드' 라고 하는데 이는 '지켜보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의 등불이 되어 비추고 계심을 말합니다. 출 25:31 너는 순금으로 등잔 대를 쳐 만들되 그 밑판과 줄기와 잔과 꽃 받침과 꽃을 한 덩이로 연결하고 출 25:34 등잔 대 줄기에는 살구 꽃 형상의 잔 넷과 꽃 받침과 꽃이 있게 하고 출 25:36 그 꽃 받침과 가지를 줄기와 연결하여 전부를 순금으로 쳐 만들고 요한계시록에서 일곱 금촛대는 일곱 교회를 말하고 일곱 등불은 성령을 말합니다. 3) 금향단 성소 가운데 지성소 휘장 앞에 놓인 금향단은 길이가 1규빗, 넓이가 1규빗으로 네모 반듯하고 높이가 2규빗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금향단을 성소안 떡상이나 등잔 대를 만들 때 같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성소 ...

이삭의 예배생활

이미지
 하루 중 가장 중요한 시간은 하나님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시간입니다. 개인 예배란 한 개인이 말씀과 기도 가운데 인격적으로 하나님을 만나서 하나님의 은혜를 누리는 것을 말합니다. 개인 예배가 없으면 무의미한 시간을 보내거나 방황 할 수 있습니다. 개인 예배는 흐려진 영혼의 초점을 잡게 하여 방황을 끝내고 방향을 잡게 합니다. 1. 모리아산에서의 예배 창세기 22장은 아브라함이 이삭을 드리는 사건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당시 아브라함은 브엘세바에 거 하였는데 그곳에 에셀나무를 심고 나무 아래에서 예배를 드렸습니다. 아브라함이 에셀나무를 심은 것은 그곳에 제단을 쌓고 예배를 드리기 위함이었습니다. 아브라함은 어디를 가든지 예배 중심의 삶을 살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창 22:2 여호와께서 이르시되 네 아들 네 사랑하는 독자 이삭을 데리고 모리아 땅으로 가서 내가 네게 일러 준 한 산 거기서 그를 번제로 드리라 창 22:5 이에 아브라함이 종들에게 이르되 너희는 나귀와 함께 여기서 기다리라 내가 아이와 함께 저기 가서 예배하고 우리가 너희에게로 돌아오리라 모리아산은 롯을 구한 아브라함이 살렘왕 멜기세덱를 만난 장소이고 또 다윗이 값을 주고 산 아라우나의 타작 마당이 있는 곳이며 솔로몬이 그곳에 성전을 세우지요. 그리고 신약에서는 예수님이 십자가를 지신 골고다 언덕이기도 합니다. 아브라함은 거기에서 하나님이 예배를 원하신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번제는 하나님께 제사하는 예배였으니까요. 이삭은 10대 후반의 청년 이였습니다. 충분히 아버지의 손을 뿌리치고 달아날 수도 있는 나이였습니다. 그런데 이삭은 아버지에게 순종 합니다. 어떻게 그럴 수 있었을까요? 이삭은 아버지 아브라함의 마음을 알지 않았을까요? 하나님께 받은 말씀을 아무에게도 하물며 아내인 사라 에게도 말하지 않았는데 이삭은 어떻게 아버지 마음을 알았을까요? 그것이 바로 이삭도 아버지 아브라함의 영향으로 하나님께 늘 예배 하였다는 것입니다. 아버지께 순종 해 묵묵히 나무를 지고 올라가는 이삭...

가인과 아벨의 예배

이미지
아담에게는 가인과 아벨이라는 두 아들이 있습니다. 이 두 아들이 한 날 한 시에 하나님께 제물을 드리며 제사를 드립니다. 가인과 아벨의 제사 그것은 바로 가인과 아벨의 예배생활이었습니다.  1. 예배의 유래 재미있는 이야기 하나 추정해서 볼까요?  아담과 하와가 에덴 동산에서 쫓겨 나와 아이들을 낳았습니다. 가족이 함께 있는 자리에서 아벨이 부모가 입고 있는 옷을 자세히 보니 옷이 많이 낡았습니다. 양을 치는 아벨이 말합니다. "어머니 아버지 양의 가죽은 얼마든지 있습니다. 옷을 새로 해 입으시지요." 아벨의 말을 들은 아담과 하와는 자신들의 낡은 옷을 손으로 쓰다듬으며 말합니다. "아벨 이 옷은 낡았다고 버릴 수 없는 옷이란다." "우리의 옷에는 사연이 있지. 네 아버지와 내가 죄를 지었어 하나님이 선악과를 따먹으면 반드시 죽는다고 하셨는데 그만 따 먹고 말았어. 우리는 죽을 줄 알고 두려워 했는데 하나님이 우리를 죽이지 않으시고 양을 대신 잡고 우리 죄를 용서해 주시고 그 가죽으로 우리 옷을 지어 주셨지. 이 옷은 그때 죄 없이 우리 죄 때문에 죽은 그 양의 가죽이지." 에덴 동산에서 죄를 범하기 전에는 하나님과 직접 대면할 수 있었기 때문에 제사가 필요 없었습니다. 그러다가 사단의 유혹으로 범죄 한 후 에덴에서 추방 당하고 나자 하나님을 만날 수 없게 되었습니다. 그런 우리 인간이 하나님을 만나거나 죄를 용서 받을 수 있는 길이 제사였습니다. 애굽에서 출애굽 후 모세 이후에는 성막에서 제사를 드리며 하나님을 만나고 예수님이 이 땅에 오신 후에는 예배를 통해 하나님을 만나고 죄 사함을 받게 된 것입니다. 2. 아벨의 예배 같은 날 같은 장소에서 두 형제가 하나님께 제물을 드렸는데 가인의 제물은 거절되고 아벨의 제물만 하나님이 받으셨습니다. 하나님은 왜 아벨의 예배는 받으시고 가인의 예배는 받지 않으셨을까요?  아벨은 믿음으로 제사를 드렸다 고 했습니다. 히 11:4 믿음으로 아벨은 가인 보다 더 나은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