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의 모형 성막2(성소와 지성소)

 4가지의 덮개로 덮여진 성소는 거룩한 장소로 하나님이 보좌를 의미합니다. 성소는 이동이 가능합니다. 긴 널판을 이어서 만들었으며 가로는 30규빗, 넓이는 10규빗, 높이 10규빗입니다. 성소안에는 또 다른 10규빗의 정사각형 방을 만들고 이곳을 지성소라고 합니다. 하나님이 임재하시는 거룩한 장소입니다. 1. 성소에는 무엇이 있을까? 성소에 들어서면 오른쪽으로 떡상이 놓여 있고 왼쪽으로 일곱 개의 금촛대가 있으며 문에서 마주 보는 가운데에는 금향단이 있고 그 뒤로 휘장이 드리워져 있습니다. 1) 떡상 진설병을 두는 상은 길이 2규빗, 넓이 1규빗, 높이 1.5규빗으로 12개의 무교병이 진설됩니다.  이 떡은 안식일마다. 새로운 떡으로 바꾸어 놓았고 이 떡상은 신 광야의 만나를 형상화 했으며 생명의 떡이 되시는 예수님을 상징하기도 합니다.  출 25:23 너는 조각목으로 상을 만들되 길이는 두 규빗, 너비는 한 규빗, 높이는 한 규빗 반이 되게 하고 출 25:24 순금으로 싸고 주위에 금 테를 두르고 출 25:30 상 위에 진설병을 두어 항상 내 앞에 있게 할지니라 2) 등잔 대 등잔 대는 금촛대라고도 하는데 살구 꽃 형상으로 만들었습니다. 원어로는 '솨케드' 라고 하는데 이는 '지켜보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의 등불이 되어 비추고 계심을 말합니다. 출 25:31 너는 순금으로 등잔 대를 쳐 만들되 그 밑판과 줄기와 잔과 꽃 받침과 꽃을 한 덩이로 연결하고 출 25:34 등잔 대 줄기에는 살구 꽃 형상의 잔 넷과 꽃 받침과 꽃이 있게 하고 출 25:36 그 꽃 받침과 가지를 줄기와 연결하여 전부를 순금으로 쳐 만들고 요한계시록에서 일곱 금촛대는 일곱 교회를 말하고 일곱 등불은 성령을 말합니다. 3) 금향단 성소 가운데 지성소 휘장 앞에 놓인 금향단은 길이가 1규빗, 넓이가 1규빗으로 네모 반듯하고 높이가 2규빗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금향단을 성소안 떡상이나 등잔 대를 만들 때 같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성소 ...

셋과 에노스의예배

1. 아벨 대신 셋

하나님께서는 아벨의 죽음으로 아벨 대신 '셋' 을 주셨습니다. 셋이란? 대치하다 는 의미를 지닌 히브리어 '쉬트' 에서 유래했습니다. 아벨 대신 보상으로 주신 자라는 뜻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셋을 통해 다시 하나님의 계획과 꿈을 이어가셨습니다.

가인은 에덴 동 편 놋 땅에서 크게 문명을 이루며 번성해 가는데 셋은 이제 시작하니 세상의 문화인 가인의 후손들과 상대가 될까 할 수 있으나 하나님으로 시작하는 셋의 시간은 가인의 길보다  더 빠르고 복 되고 행복한 길이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셋의 후손 에노스

셋은 105세에 에노스를 낳았습니다. 에노스라는 이름은 '연약한 자, 유한한 자' 라는 뜻입니다. 셋이 인생을 살아보니까 하나님 앞에서 인간은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을 알고 에노스라 한 것입니다. 에노스는 셋의 신앙 고백이 담긴 이름입니다. 
이것을 보면 셋은 에노스를 낳기 전 100여 년 동안 자신 혼자 개인 예배를 통해 하나님만 바라보고 의지하며 굳굳이 살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때론 가는 길이 멀어 보이고 이렇게 늦어서 언제 되나 싶고 외롭게 좁은 길을 갈 때가 얼마나 많았겠습니까? 세상에 악이 득세하는 가인의 후손들이 장악하고 있었는데 그 한 곳에서 묵묵히 하나님만 바라보며 개인 예배 하며 나아간 셋은 결국 세상을 이기는 믿음으로 승리합니다.

창 4:26 셋도 아들을 낳고 그의 이름을 에노스라 하였으며 그 때에 사람들이 비로소 여호와의 이름을 불렀더라 
성경은 에노스 때부터 사람들이 하나님의 이름을 부르게 되었다고 말합니다. 
'불렀다'는 히브리어로 '카라, 즉 예배하다' 라는 뜻이 있습니다. 아브라함이 예배하고 이삭이 예배 한 것과 같이 바로 셋의 아들 에노스 때부터 함께 예배 드리는 공동체 예배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

3. 영의 사람과 육의 사람

이렇게 하나님을 떠난 가인의 후손들이 세상의 문화를 주도하며 번성하기 시작 할 때에 셋의 후손은 세상 문화 보다는 하나님께 먼저 예배 하기를 시작했던 것이죠.
가인의 후손들은 문화를 발달 시키고 세상 가운데 많은 업적을 남겼지만 그들은 하나님과 아무 상관 없이 자기 중심적으로 살아갔습니다. 가인의 후손들 중에서는 어느 누구 하나 하나님의 이름을 부르거나 하나님께 영광을 돌린 사람이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셋과 그의 후손들은 하나님의 이름을 부르며 예배 하는 삶을 살았다고 말합니다.
 셋의 후손은 세상을 중심으로 사는 것이 아니라 예배를 통해 하나님 중심으로 살면서 하나님이 주시는 은혜로 세상을 이겼습니다.

여기서 영의 사람인 조나단 에드워드 목사님의 후손들 이야기와 육의 사람이었던 맥스 쥬크의 후손들을 비교해 보도록 할께요.
조나단 에드워드 목사님은 경건한 여인 사라와 결혼해 슬하에 11명의 자녀를 둡니다. 그로부터 8대까지 내려가면서 그의 후손들은 부통령 1, 주지사 3, 대학 총장 13, 시장 3, 장 차관 82, 변호사 149, 판 검사 45, 목사 116, 의사 68, 대학교수 65, 세계적인 사업가 75, 발명가 25.... 수많은 후손들이 사회 곳곳에서 하나님의 일꾼으로 쓰임을 받았습니다. 반면 맥스 쥬크는 방탕한 여인과 결혼해 그들의 후손 5대에 걸쳐 2,240명이 나왔는데 그 중에 겨우 20명만 정상적인 인생을 살았고 나머지는 어릴 때 죽은 유아 사망자, 걸인, 도둑, 살인자, 매춘 부, 알코올 중독자 등이었다고 합니다. 이 두 가정을 보면 바로 셋의 후손과 가인의 후손을 보는 것 같지 않습니까?

셋의 후손도 가인의 후손과 동일하게 아담의 후손이기에 죄의 본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도 가인의 후손들처럼 세상의 문화와 문명을 따라 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셋의 후손은 세상을 따라가지 않고 예배 하며 하나님을 따라가고 말씀을 따라가고 세속의 문화를 이겨냅니다. 
셋과 에노스는 예배를 통해 믿음을 지키고 믿음의 대를 이어 갔습니다. 셋의 후손 가운데 죽음을 보지 않고 살아서 하나님의 나라로 승천한 에녹이 있고 홍수 심판 때 온 가족을 구원한 노아가 나옵니다. 이렇게 보면 가인의 후손은 화려하고 용감하고 잘나가는 것 같았지만 그들은 홍수 심판 때 한 사람도 구원 받지 못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셋의 후손을 통해 아브라함과 다윗 그리고 예수님이 오셨습니다.(눅 3:23-38)

말씀과 기도 그리고 가정 예배와 개인 예배로 깨어 있어야 셋의 후손의 길을 가면서 가정을 구원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 때에 나와 우리 가정을 지킬 수 있는 것은 바로 예배입니다.
오늘도 여러분의 가정에서 가정 예배 그리고 개인 예배 이루어 가시기를 기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