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024의 게시물 표시

하늘의 모형 성막2(성소와 지성소)

 4가지의 덮개로 덮여진 성소는 거룩한 장소로 하나님이 보좌를 의미합니다. 성소는 이동이 가능합니다. 긴 널판을 이어서 만들었으며 가로는 30규빗, 넓이는 10규빗, 높이 10규빗입니다. 성소안에는 또 다른 10규빗의 정사각형 방을 만들고 이곳을 지성소라고 합니다. 하나님이 임재하시는 거룩한 장소입니다. 1. 성소에는 무엇이 있을까? 성소에 들어서면 오른쪽으로 떡상이 놓여 있고 왼쪽으로 일곱 개의 금촛대가 있으며 문에서 마주 보는 가운데에는 금향단이 있고 그 뒤로 휘장이 드리워져 있습니다. 1) 떡상 진설병을 두는 상은 길이 2규빗, 넓이 1규빗, 높이 1.5규빗으로 12개의 무교병이 진설됩니다.  이 떡은 안식일마다. 새로운 떡으로 바꾸어 놓았고 이 떡상은 신 광야의 만나를 형상화 했으며 생명의 떡이 되시는 예수님을 상징하기도 합니다.  출 25:23 너는 조각목으로 상을 만들되 길이는 두 규빗, 너비는 한 규빗, 높이는 한 규빗 반이 되게 하고 출 25:24 순금으로 싸고 주위에 금 테를 두르고 출 25:30 상 위에 진설병을 두어 항상 내 앞에 있게 할지니라 2) 등잔 대 등잔 대는 금촛대라고도 하는데 살구 꽃 형상으로 만들었습니다. 원어로는 '솨케드' 라고 하는데 이는 '지켜보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의 등불이 되어 비추고 계심을 말합니다. 출 25:31 너는 순금으로 등잔 대를 쳐 만들되 그 밑판과 줄기와 잔과 꽃 받침과 꽃을 한 덩이로 연결하고 출 25:34 등잔 대 줄기에는 살구 꽃 형상의 잔 넷과 꽃 받침과 꽃이 있게 하고 출 25:36 그 꽃 받침과 가지를 줄기와 연결하여 전부를 순금으로 쳐 만들고 요한계시록에서 일곱 금촛대는 일곱 교회를 말하고 일곱 등불은 성령을 말합니다. 3) 금향단 성소 가운데 지성소 휘장 앞에 놓인 금향단은 길이가 1규빗, 넓이가 1규빗으로 네모 반듯하고 높이가 2규빗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금향단을 성소안 떡상이나 등잔 대를 만들 때 같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성소 ...

셋과 에노스의예배

이미지
1. 아벨 대신 셋 하나님께서는 아벨의 죽음으로 아벨 대신 '셋' 을 주셨습니다. 셋이란? 대치하다 는 의미를 지닌 히브리어 '쉬트' 에서 유래했습니다. 아벨 대신 보상으로 주신 자라는 뜻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셋을 통해 다시 하나님의 계획과 꿈을 이어가셨습니다. 가인은 에덴 동 편 놋 땅에서 크게 문명을 이루며 번성해 가는데 셋은 이제 시작하니 세상의 문화인 가인의 후손들과 상대가 될까 할 수 있으나 하나님으로 시작하는 셋의 시간은 가인의 길보다  더 빠르고 복 되고 행복한 길이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셋의 후손 에노스 셋은 105세에 에노스를 낳았습니다. 에노스라는 이름은 '연약한 자, 유한한 자' 라는 뜻입니다. 셋이 인생을 살아보니까 하나님 앞에서 인간은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을 알고 에노스라 한 것입니다. 에노스는 셋의 신앙 고백이 담긴 이름입니다.  이것을 보면 셋은 에노스를 낳기 전 100여 년 동안 자신 혼자 개인 예배를 통해 하나님만 바라보고 의지하며 굳굳이 살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때론 가는 길이 멀어 보이고 이렇게 늦어서 언제 되나 싶고 외롭게 좁은 길을 갈 때가 얼마나 많았겠습니까? 세상에 악이 득세하는 가인의 후손들이 장악하고 있었는데 그 한 곳에서 묵묵히 하나님만 바라보며 개인 예배 하며 나아간 셋은 결국 세상을 이기는 믿음으로 승리합니다. 창 4:26 셋도 아들을 낳고 그의 이름을 에노스라 하였으며 그 때에 사람들이 비로소 여호와의 이름을 불렀더라  성경은 에노스 때부터 사람들이 하나님의 이름을 부르게 되었다고 말합니다.  '불렀다'는 히브리어로 '카라, 즉 예배하다' 라는 뜻이 있습니다. 아브라함이 예배하고 이삭이 예배 한 것과 같이 바로 셋의 아들 에노스 때부터 함께 예배 드리는 공동체 예배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 3. 영의 사람과 육의 사람 이렇게 하나님을 떠난 가인의 후손들이 세상의 문화를 주도하며 번성하기 시작 할 때에 셋의 후손...

가인의 후손들

이미지
 가인은 하나님께서 자신의 제사를 받지 않자 동생 아벨을 살해했습니다. 하나님께서 가인에게 네 손으로 아벨을 죽였으니 네가 땅에서 저주를 받을 것이라(창 4:11) 했습니다. 가인은 지면에서 유리 하는 자가 되면 만나는 사람들이 자신을 죽일 것이라 걱정했어요. 하나님께서는 그를 긍휼히 여기사 가인에게 표를 주셔서 만나는 모든 사람에게서 죽임을 면하게 하셨습니다. 이렇게 해서 가인의 삶이 출발 됩니다. 1. 가인이 세운도시 에녹성 가인은 하나님 앞을 떠나 에덴 동쪽 놋 땅에 거주했습니다. '놋' 이란 '도망하다 방황하다' 라는 뜻입니다. 그의 삶은 방황의 삶이었습니다. 하나님을 떠난 사람들의 삶은 방황의 삶입니다.  가인이 결혼해서 아들을 낳고 이름을 에녹 이라고 했습니다. 가인은 자신이 머무른 땅에 성을 쌓았습니다. 그리고 그 성의 이름을 '에녹 성' 이라 했습니다. 창 4:17 아내와 동침하매 그가 임신하여 에녹을 낳은지라 가인이 성을 쌓고 그 아들의 이름으로 성을 이름하여 에녹이라 하니라 에녹성은 인류 최초의 도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도시를 건설하고 잘 나가는 것 처럼 보여도 하나님을 떠난 가인은 불안한 마음이 있었기에 성을 쌓은 것이라고 봅니다. 하나님을 떠난 사람은 영적으로 죽은 사람이기에  아무리 큰 성을 쌓고 부와 명성을 가졌다고 해도 불안한 마음을 대신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더 큰 성을 쌓게 되고 더 많은 재물을 모으는 것이지요. 그러나 그것은 죽은 자의 삶과 같습니다. 2. 가인의 후손 라멕 가인의 후손 중 라멕(창 4:18)이 있습니다. 그 이름의 뜻은 강한 자, 힘센 자 입니다. 그는 하나님이 정해 놓으신 일부 일 처의 원리를 깨버리고 일부 다 처의 시조가 되었습니다.  창 4:19 라멕이 두 아내를 맞이하였으니 하나의 이름은 아다요 하나의 이름은 씰라였더라 창 4:23 라멕이 아내들에게 이르되 아다와 씰라여 내 목소리를 들으라 라멕의 아내들이 내 말을 들으라 나의 상처로 말미암아 내가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