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제사 - 예배를 말한다.

 제사는 예배입니다. 하나님 앞에 제사를 위해서는 먼저 희생 제물이 준비되어야 합니다. 제사 지낼 사람은 제물을 가지고 성막 문으로 갑니다. 성막 문을 들어가 먼저 제사장 앞에서 제물의 머리 위에 손을 얹고 자신의 죄를 전가 하며 자신을 죽을 자로 인정하고 죄를 고백하며 안수 합니다.  레 1:4 그는 번제물의 머리에 안수 할 지니 그를 위하여 기쁘게 받으심이 되어 그를 위하여 속죄가 될 것이라 이렇게 안수 한 후에는 그 제물을 자기 손으로 직접 잡습니다. 레 1:11 그가 제단 북쪽 여호와 앞에서 그것을 잡을 것이요 아론의 자손 제사장들은 그것의 피를 제단 사방에 뿌릴 것이며 레 1:12 그는 그것의 각을 뜨고 그것의 머리와 그것의 기름을 베어낼 것이요 제사장은 그것을 다 제단 위의 불 위에 있는 나무 위에 벌여 놓을 것이며 자신이 칼에 찔리고 찢기고 피를 흘리고 죽어야 하는 것을 직접 제물을 죽이면서 보고 느끼며 회개 하는 것이지요. 이것은 내가 지은 죄로 제물이 죽듯이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께서 살이 찢기고 피를 흘려 대신 죽으신 것을 경험해야 하는 것입니다.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은 자가 나인 것을, 예수님의 피로 속죄함 받은 자가 나라는 것을 고백하며 예배를 드려야 하는 것입니다.  1. 온전하고 흠없이 드려야 하는 번제 (레 1:1-9, 6:8-13) 번제는 '올라간다. 오른다' 라는 히브리어 '오라' 입니다. 번제는 살과 뼈 기름과 피를 모두 다 태우는 제사를 말합니다. 번제에는 하나님께 생명을 드린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자신의 생명을 드리는 마음으로 소, 양을 드리는 것입니다. 하나님 앞에 모든 것을 드리는 헌신과 하나님과의 거짓 없는 만남을 위해 드리는 것입니다. 2. 하나님이 기억하시는 선물 소제 (레 2장, 6:14-23) 소제는 '하나님께 드리는 선물'이라는 의미의 히브리어 '민하' 입니다. 곡식으로 드리는 것으로 재산을 바친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모든 제사 중에서도 피...

헤롯의 죽음과 예수님의 탄생

 '헤롯 왕'은 에서의 후손인 이두매 사람 안티파터의 아들로서 BC 73년 경에 태어났습니다. 유대를 다스린 헤롯 왕조(BC 40 ~ AD 93년)의 첫 대 헤롯입니다.
헤롯은 BC 37 ~ BC 4년까지 유대를 다스립니다. 그의 통치 말년에 예수님이 탄생하게 됩니다.


1. 예수님의 탄생

유대의 왕이 태어났다는 동방 박사의 말은 헤롯을 엄청난 충격에 빠지게 만듭니다. 자신이 어떻게 얻은 유대의 왕 자리인데 그 많은 뇌물을 로마 지도자들에게 바쳐서 얻은 자리인데 또 다른 유대인의 왕이 태어났다고 하니 얼마나 놀라고 화가 났을까요? 헤롯은 자신을 몰아내고 왕이 될까봐 유대의 공주인 마리암네에게서 태어난 아들까지 다 죽였는데 또 다른 왕이 태어났다니 말입니다. 
마 2:16 이에 헤롯이 박사들에게 속은 줄 알고 심히 노하여 사람을 보내어 베들레헴과 그 모든 지경 안에 있는 사내아이를 박사들에게 자세히 알 본 그 때를 기준 하여 두 살부터 그 아래로 다 죽이니
그는 2살 이하의 아기를 모두 죽이라는 명령을 내립니다.
이렇게 자신이 얻은 유대의 왕의 자리를 지키려고 몸부림을 치던 헤롯도, 천년 만년 유대의 왕 노릇을 할 것 같았던 헤롯도 예수님이 태어난 그해 죽습니다. 이것으로 헤롯이 죽은 해가 예수님의 탄생 연도 라는 것을 세계 역사는 증명합니다.

2. 헤롯 가문

헤롯은 하스몬 왕가의 공주 마리암네 말고도 대제사장 시므온의 딸 미리암 2세를 아내로 맞이하여 빌립 1세를 낳습니다. 그는 세례 요한에게 책망 받은 헤로디아의 남편입니다. 이 헤로디아를 분봉왕인 헤롯 안디바가 차지하자 세례 요한이 책망한 것이지요. 또한 사마리아 여인 말다게에게서 아켈라오와 헤롯 안티파스를 낳습니다. 그리고 클레오파트라라는 아내에게서 빌립 2세를 낳습니다. 빌립 2세는 헤로디아의 딸 살로메와 결혼합니다.
헤롯의 마지막은 BC 4년에 70세의 일기로 죽습니다. 
유대는 그의 세 아들 아켈라오. 안티파스, 빌립에게 분할 됩니다.
아켈라오는 유대와 사마리아를 안티파스는 갈릴리지역과 요단동편 지역을 빌립은 갈릴리 위쪽지역을 다스리는 왕이 됩니다.
여기서 아켈라오는 그의 아버지 대헤롯과는 다르게 악정을 행하여 유대 백성들의 원성을 사게 되지요. 유대 백성들은 로마의 가이사에게 아켈라오를 상소합니다. 그것으로 인해 아켈라오는 약 10여 년 만에 유대의 왕의 자리에서 물러나게 됩니다. 유대는 로마의 직속 총독 체제로 바뀌게 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