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023의 게시물 표시

하늘의 모형 성막2(성소와 지성소)

 4가지의 덮개로 덮여진 성소는 거룩한 장소로 하나님이 보좌를 의미합니다. 성소는 이동이 가능합니다. 긴 널판을 이어서 만들었으며 가로는 30규빗, 넓이는 10규빗, 높이 10규빗입니다. 성소안에는 또 다른 10규빗의 정사각형 방을 만들고 이곳을 지성소라고 합니다. 하나님이 임재하시는 거룩한 장소입니다. 1. 성소에는 무엇이 있을까? 성소에 들어서면 오른쪽으로 떡상이 놓여 있고 왼쪽으로 일곱 개의 금촛대가 있으며 문에서 마주 보는 가운데에는 금향단이 있고 그 뒤로 휘장이 드리워져 있습니다. 1) 떡상 진설병을 두는 상은 길이 2규빗, 넓이 1규빗, 높이 1.5규빗으로 12개의 무교병이 진설됩니다.  이 떡은 안식일마다. 새로운 떡으로 바꾸어 놓았고 이 떡상은 신 광야의 만나를 형상화 했으며 생명의 떡이 되시는 예수님을 상징하기도 합니다.  출 25:23 너는 조각목으로 상을 만들되 길이는 두 규빗, 너비는 한 규빗, 높이는 한 규빗 반이 되게 하고 출 25:24 순금으로 싸고 주위에 금 테를 두르고 출 25:30 상 위에 진설병을 두어 항상 내 앞에 있게 할지니라 2) 등잔 대 등잔 대는 금촛대라고도 하는데 살구 꽃 형상으로 만들었습니다. 원어로는 '솨케드' 라고 하는데 이는 '지켜보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의 등불이 되어 비추고 계심을 말합니다. 출 25:31 너는 순금으로 등잔 대를 쳐 만들되 그 밑판과 줄기와 잔과 꽃 받침과 꽃을 한 덩이로 연결하고 출 25:34 등잔 대 줄기에는 살구 꽃 형상의 잔 넷과 꽃 받침과 꽃이 있게 하고 출 25:36 그 꽃 받침과 가지를 줄기와 연결하여 전부를 순금으로 쳐 만들고 요한계시록에서 일곱 금촛대는 일곱 교회를 말하고 일곱 등불은 성령을 말합니다. 3) 금향단 성소 가운데 지성소 휘장 앞에 놓인 금향단은 길이가 1규빗, 넓이가 1규빗으로 네모 반듯하고 높이가 2규빗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금향단을 성소안 떡상이나 등잔 대를 만들 때 같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성소 ...

하스몬 왕조와 헤롯가문

이미지
 마카비 혁명으로 세워진 하스몬 왕조는 예루살렘 동남쪽의 에돔 지역까지 정복하며 융성해집니다. 그런 하스몬 왕조에게 조공을 바치던 에돔의 헤롯 가문이 세계의 흐름이 로마에 있음을 파악하여 하스몬 왕조를 배반하고 로마에 붙습니다. 결국 에돔 총독 안티파터(헤롯이 아버지)는 로마의 폼페이우스를 도와 예루살렘을 정복하는데 일조합니다. 유대인들은 이때부터 로마와 헤롯 가문의 이중 지배 구조를 겪게 됩니다. 1. 유대의 왕이 된 헤롯 요세푸스 유대 고대사에는 폼페이우스가 예루살렘을 정복할 때 유대인이 1만 2천 명이 죽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폼페이우스는 하스몬 왕조의 두 아들 싸움에 중재 역할을 한다는 명목으로 예루살렘에 들어옵니다. 그중 아리스토불로스 2세와 가족들을 모두 포로로 로마로 데려가고 힐카우스 2세를 남겨 자기네 맘대로 대제사장으로 임명합니다.  그리고 유대가 정복한 에돔, 사마리아, 갈릴리, 데카폴리스등을 모두 독립 시켜 원주민들에게 돌려 줍니다. 이시기에 에돔인 헤롯이 옥타비아누스(아우구스)와 안토니우스를 찾아가 정치적 술수와 아첨을 통해 유대를 다스리는 '왕'의 칭호를 받게 됩니다. 그는 힐카우스가 다스리던 갈릴리 이두매 사마리아까지 다스리는 권한을 얻어 냅니다.  그러나 유대인들은 헤롯을 싫어했습니다.  헤롯은 유대인의 정통성을 인정받고 싶어 여러 부인이 있음에도 하스몬 왕가의 공주인 마리암네와 또 결혼합니다.  대헤롯과 마리암네 이야기는 요세푸스 유대고대사에 아주 자세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여러 명의 부인이 있었던 헤롯이 가장 사랑했던 여인은 유대 공주였던 마리암네였다고 합니다. 헤롯이 이 여인을 너무 도 사랑해 그가 로마로 옥타비아누스를 만나러 갈 때는 목숨을 건 위험을 감수하고 가는 길이었으므로 혹시 자신이 로마에서 무슨 변을 당하거든 마리암네를 바로 죽이라고 시종에게 명령을 내려놓고 갔다고 합니다. 왜 그랬을까요? 자신이 가장 사랑한 여인이 다른 남자에게 가는 것을 허락할 수 없다는 것...

로마와 유대의 관계

이미지
유대 민족은 오로지 하나님을 믿은 신앙 때문에 다른 이방 민족들의 문화나 종교를 가지기를 거부하였습니다. 그들은 하나님께서 주신 율법을 지키기 위해  로마가 주는 시민권도 포기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1. 로마와 유대 관계 유대인들은 로마 시민권을 갖게 되면 파격적인 세금의 면제와 로마의 법에 보호를 받을 수 있는 권리등 여러가지 이익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로마 시민이 되는 것을 거부했습니다. 왜냐하면 로마 시민이 되면 하나님이 주신 유대의 전통, 조상 대대로 지켜온 율법을 지킬 수 없게 되고 또 모두 로마의 법을 따라야 하기 때문입니다. 당시 유대인들은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이 많았습니다. 세계에 흩어진 유대인들은 어디에 살든지 1년에 2드라크마를 예루살렘에 있는 성전의 세로 바쳤으며. 그들은 어느 곳에 있든지 1년에 한번은 예루살렘 성전이 있는 곳을 방문하는 성지순례도 자신들이 이방인이 아닌 유대인이라는 것을 증명하듯 의무처럼 여겼습니다.  이렇게 유대인들의 정체성은 그들이 속해 있는 예루살렘 성전을 중심으로 한 유대교 에 있었습니다. 유대인들에게는 꿈이 있었습니다. 자신들을 억압에서 해방시켜 줄 메시아의 탄생을 기다리는 것입니다. 아우구스투스는 다른 이방 신들의 종교에는 전혀 관심을 두지 않았지만 유독 예루살렘 성전에 만은 아내 리비아와 함께 헌금을 했다고 전합니다. 또 유대인들에게는 어느 정도 사법권을 허용하였습니다. 안식 일을 유대의 전통대로 지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본인이 원하면 군대도 면제해 주었지요. 단지 사형 제도 만은 로마에서 파견한 총독의 허락이 있어야 했습니다. 그래서 예수님도 빌라도 총독이 재판하여 십자가에 못 박았던 것입니다.  또한 로마는 유대인들의 자극을 피하기 위해 예루살렘을 수호하기 위한 군사들은 예루살렘이 아닌 좀 떨어진 가이사랴에 주둔 시켰으며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에게는 헬라인들과 동등하게 무역과 장사를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해 주었습니다. 이렇게 로마는 유대인들에게 그들의 권리를 인정하며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