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제사 - 예배를 말한다.

 제사는 예배입니다. 하나님 앞에 제사를 위해서는 먼저 희생 제물이 준비되어야 합니다. 제사 지낼 사람은 제물을 가지고 성막 문으로 갑니다. 성막 문을 들어가 먼저 제사장 앞에서 제물의 머리 위에 손을 얹고 자신의 죄를 전가 하며 자신을 죽을 자로 인정하고 죄를 고백하며 안수 합니다.  레 1:4 그는 번제물의 머리에 안수 할 지니 그를 위하여 기쁘게 받으심이 되어 그를 위하여 속죄가 될 것이라 이렇게 안수 한 후에는 그 제물을 자기 손으로 직접 잡습니다. 레 1:11 그가 제단 북쪽 여호와 앞에서 그것을 잡을 것이요 아론의 자손 제사장들은 그것의 피를 제단 사방에 뿌릴 것이며 레 1:12 그는 그것의 각을 뜨고 그것의 머리와 그것의 기름을 베어낼 것이요 제사장은 그것을 다 제단 위의 불 위에 있는 나무 위에 벌여 놓을 것이며 자신이 칼에 찔리고 찢기고 피를 흘리고 죽어야 하는 것을 직접 제물을 죽이면서 보고 느끼며 회개 하는 것이지요. 이것은 내가 지은 죄로 제물이 죽듯이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께서 살이 찢기고 피를 흘려 대신 죽으신 것을 경험해야 하는 것입니다.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은 자가 나인 것을, 예수님의 피로 속죄함 받은 자가 나라는 것을 고백하며 예배를 드려야 하는 것입니다.  1. 온전하고 흠없이 드려야 하는 번제 (레 1:1-9, 6:8-13) 번제는 '올라간다. 오른다' 라는 히브리어 '오라' 입니다. 번제는 살과 뼈 기름과 피를 모두 다 태우는 제사를 말합니다. 번제에는 하나님께 생명을 드린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자신의 생명을 드리는 마음으로 소, 양을 드리는 것입니다. 하나님 앞에 모든 것을 드리는 헌신과 하나님과의 거짓 없는 만남을 위해 드리는 것입니다. 2. 하나님이 기억하시는 선물 소제 (레 2장, 6:14-23) 소제는 '하나님께 드리는 선물'이라는 의미의 히브리어 '민하' 입니다. 곡식으로 드리는 것으로 재산을 바친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모든 제사 중에서도 피...

3차 포에니 전쟁

 2차 포에니 전쟁이 로마의 승리로 끝났지만 한 사람의 영웅을 만들어 내었지요? 바로 카르타고의 한니발 이었습니다. 그러나 카르타고는 철저히 패하고 영웅 한니발도 죽었습니다. 로마의 허락 없이는 전쟁을 할 수 없게 된 카르타고인데 로마와 카르타고의 3차 포에니 전쟁은 어떻게 일어나게 된 걸까요?


1. 3차 포에니 전쟁

카르타고는 2차 포에니 전쟁에서 패한 댓가로 1차 때 보다 훨씬 많은 전쟁 배상금을 물어야 했습니다. 그리고 로마의 허락이 없이는 어떤 이유로 누구와도 전쟁을 해서는 안된다는 조약을 맺었습니다. 사실상 카르타고의 모든 군대를 해산했다고 보아야 합니다. 
그런데 카르타고 바로 옆에 누미디아가 있었습니다. 누미디아는 카르타고의 동맹국으로 전쟁 때마다 용병들을 지원했습니다. 그런데 누미디아가 보니 자신들을 꽉 잡고 있던 카르타고가 로마에게 꼼짝 못하는 것입니다. 누미디아는 때를 놓치지 않고 카르타고로 부터 독립을 위해 도발합니다. 로마와의 약속 때문에 꾹 참고 있던 카르타고는 자꾸 도발하는 누미디아를 참고 참다가 어쩔 수 없이 맞서게 됩니다. 누미디아는 바로 이 때를 기다린 것입니다. 로마의 도움으로 자신들이 독립을 꾀하려는 것이었습니다.
카르타고가 누미디아를 상대로 전쟁을 한 사실을 알게 된 로마는 왜 조약을 어겼느냐고 꼬투리를 잡으며 카르타고를 침공합니다. 

2. 역사에서 사라진 카르타고

2차 포에니 전쟁 시 한니발의 대륙 침략으로 인해 엄청난 피해를 입은 로마는 한니발의 나라 카르타고에 불만이 많았습니다. 카르타고를 침범한 로마는 그 동안 참고 있었던 속내를 군대만이 아닌 카르타고에 사는 일반 시민들까지 참혹하게 학살하면서 드러냅니다.  당시 카르타고 시민이 25만 명 정도 였다고 하는데 그중 20만 명은 로마 군에 의해 죽고 살아남은 5만 명은 어린아이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모두 노예로 팔아버렸습니다. 한 때 지중해를 주름 잡으며 번영을 누리던 페니키아인들이 세운 카르타고는 이렇게 로마에 의해 철저하게 파괴되고 한 사람도 자신들의 땅에 살아 남을 수 없는 처지가 되었으며 이로서 카르타고는 세계사에서 그 이름이 사라지게 됩니다.
결국 포에니 전쟁의 영웅 한니발은 그의 지혜로 로마에게 승리한 명장으로 이름을 남기게 되었지만 그로 인해 자신의 나라 카르타고는 영원히 멸망의 길로 가게 된 것입니다.
BC 146년 카르타고의 멸망으로 3차 포에니 전쟁이 종결됩니다.

3. 포에니 전쟁의 결과

3차례의 전쟁을 통해 로마는 이베리아(스페인과 포르투갈)와 북 아프리카의 전영토을 얻게 됩니다. 그리고 더 이상의 경쟁자가 없는 명실상부한 지중해의 최강대국이 되어 지중해의 재해 권을 장악하게 되지요. 바로 이 전쟁을 통해 로마는 제국으로 가는 기틀을 마련하게 됩니다. 

4. 6차 시리아 전쟁을 마지막으로 

이집트의 프톨레미 왕조와 시리아의 셀류쿠스 왕조와의 전쟁이 끝이 납니다.  한편 포에니 전쟁에서 승리한 로마는 카르타고 뿐 아니라 북 아프리카에 있는 이집트로 들어가게 되고 시리아 전쟁에서 승리한 안티오쿠스 4세는 승리한 것도 잠시 로마의 간섭으로 이집트에서 물러나는 상황이 됩니다. 이에 그 화풀이를 유대에 퍼붓는데 유대에서는 이런 안티오쿠스 4세의 악정에 대적해 마카비 혁명이 일어나며 그것을 계기로 독립을 하게 됩니다. 마카비 혁명을 일으킨 하스몬가의 왕조가 약 100여 년 이어갑니다. 
셀류쿠스 왕조는 BC 63년 안티오쿠스 7세의 죽음으로 로마의 폼페이우스에게 멸망하고 30년후 BC 30년 이집트의 프톨레미 왕조는 클레오파트라 7세의 죽음으로 로마의 속국이 되고 말지요.
유대 또한 BC 63년에 시리아 셀류쿠스 왕조를 멸망 시킨 로마의 폼페이우스에 의해 예루살렘성이 점령 되면서 로마의 지배를 받게 됩니다.

세상에는 영원한 것이 없습니다. 
내가 가진 모든 것으로 천 년 만 년 살 것처럼 욕심 부리지만 많이 살아야 100년 삽니다. 
세상의 영화보다도 우리 앞에 있는 문제보다도 더 크신 하나님을 바라보며 절망하거나 낙심 하지 말고 우리 모두 승리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