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023의 게시물 표시

하늘의 모형 성막2(성소와 지성소)

 4가지의 덮개로 덮여진 성소는 거룩한 장소로 하나님이 보좌를 의미합니다. 성소는 이동이 가능합니다. 긴 널판을 이어서 만들었으며 가로는 30규빗, 넓이는 10규빗, 높이 10규빗입니다. 성소안에는 또 다른 10규빗의 정사각형 방을 만들고 이곳을 지성소라고 합니다. 하나님이 임재하시는 거룩한 장소입니다. 1. 성소에는 무엇이 있을까? 성소에 들어서면 오른쪽으로 떡상이 놓여 있고 왼쪽으로 일곱 개의 금촛대가 있으며 문에서 마주 보는 가운데에는 금향단이 있고 그 뒤로 휘장이 드리워져 있습니다. 1) 떡상 진설병을 두는 상은 길이 2규빗, 넓이 1규빗, 높이 1.5규빗으로 12개의 무교병이 진설됩니다.  이 떡은 안식일마다. 새로운 떡으로 바꾸어 놓았고 이 떡상은 신 광야의 만나를 형상화 했으며 생명의 떡이 되시는 예수님을 상징하기도 합니다.  출 25:23 너는 조각목으로 상을 만들되 길이는 두 규빗, 너비는 한 규빗, 높이는 한 규빗 반이 되게 하고 출 25:24 순금으로 싸고 주위에 금 테를 두르고 출 25:30 상 위에 진설병을 두어 항상 내 앞에 있게 할지니라 2) 등잔 대 등잔 대는 금촛대라고도 하는데 살구 꽃 형상으로 만들었습니다. 원어로는 '솨케드' 라고 하는데 이는 '지켜보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의 등불이 되어 비추고 계심을 말합니다. 출 25:31 너는 순금으로 등잔 대를 쳐 만들되 그 밑판과 줄기와 잔과 꽃 받침과 꽃을 한 덩이로 연결하고 출 25:34 등잔 대 줄기에는 살구 꽃 형상의 잔 넷과 꽃 받침과 꽃이 있게 하고 출 25:36 그 꽃 받침과 가지를 줄기와 연결하여 전부를 순금으로 쳐 만들고 요한계시록에서 일곱 금촛대는 일곱 교회를 말하고 일곱 등불은 성령을 말합니다. 3) 금향단 성소 가운데 지성소 휘장 앞에 놓인 금향단은 길이가 1규빗, 넓이가 1규빗으로 네모 반듯하고 높이가 2규빗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금향단을 성소안 떡상이나 등잔 대를 만들 때 같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성소 ...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 황제 옥타비아누스

이미지
 카이사르는 최초로 로마를 통일한 인물이지만 황제의 자리에 오르지는 않았어요. 그는 황제가 되지는 못했지만 카이사르(가이사)라는 이름은 곧 황제를 뜻하는 것으로 사용됩니다. 카이사르의 모든 재산은 그의 양 아들 옥타비아누스에게 가게 되는데 그 중 일부는 로마 시민들에게 일정 금액이 상속됩니다. 이렇게 시민들 한 사람 한 사람까지 상속을 받게 되니 로마 시민들이 카이사르를 잊을 수 있을까요? 원로원들은 로마를 구하려고 카이사르를 죽였다고 했지만 상속자로 사랑받은 로마 시민들은 그를 죽인 반역자들을 처단하고 양 아들 옥타비아누스를 후계자로 세우게 됩니다. * 2차 삼두정치 옥타비아누스는 카이사르의 군 사령관이었던 안토니우스와 원로운 의원인 레피두스를 끌어들여 2차 삼두 정치를 시작합니다. 그러나 레피두스는 바로 실각하고 이탈리아 스페인 갈리아등 서방은 옥타비아누스 발칸반도 소 아시아 시리아 이집트등 동방은 안토니우스가 관할하며 양자 대결로 가게 됩니다.  1)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  안토니우스는 파르티아 원정 길에 오르면서 소 아시아의 다소(타르소스)성에 머물게 되는데 그 다소의 백성들이 안토니우스에게 많은 후원과 도움을 주게 되고 안토니우스는 그 보답으로 로마 시민권을 다소의 시민들에게 주게 됩니다. 추측 하건 데 사도 바울의 가문도 이 때 시민권을 받지 않았을까요. BC 41년 안토니우스는 이집트 집정관의 지위로 클레오파트라를 다소에 부릅니다. 이유는 카이사르의 암살을 도왔다는 죄목을 추궁하기 위해서였습니다. 그러나 안토니우스를 만나러 오는 클레오파트라는 죄인이 아닌 이집트의 여왕으로 화려함의 극치를 보여주며 다소 성에 입성합니다. 28살의 클레오파트라는 우아함과 아름다움으로 42살의 안토니우스를 사로 잡습니다. 그들은 만나자마자 운명적인 사랑에 빠지고 말지요.  당시 옥타비아누스의 여동생인 옥타비아를 아내로 두었던 안토니우스는 아내를 버리고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 거처 하면서 클레오파트라와 다시 결혼을 하게 되며 3명의 자...

로마의 1차 삼두정치 (카이사르, 폼페이우스, 크라수스)

이미지
포에니 전쟁 이후 로마는  정복한 나라에서 들어오는 노예들과 또한 곡물들로 인해 로마 자체에 있던 자영 농민들이 몰락하고 라티푼디움이라는 대농장이 유행하게 됩니다. 몰락한 자영 농민들이 자신들의 고향을 떠나 대도시로 몰려들면서 로마 사회의 산업은 불안한 상황이 됩니다. 그러나 농민들의 몰락에 반해 새로이 떠오르는 직업이 생겨나게 되지요. 해상 무역으로 돈을 버는 해상 무역업자, 고리대금업자, 세금징수원, 군무기를 납품하는 업자 등 이들은 새로운 부유층으로 떠오르면서 헬레니즘 문화와 합쳐 사치와 향락에 빠져들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1. 스파르타쿠스의 난 BC 73년 캄파니아 지방의 검투사 스파르타쿠스가 70명의 검투사들과 함께 검투사 양성소를 탈출하여 일으킨 반란입니다. 스파르타쿠스는 오늘날 불가리아 남서쪽 트라키아 출신으로 로마군의 포로로 잡혀 검투사로 팔려갑니다. 그는 이탈리아의 검투 도시 캄파니아의 최강자로 이름을 날렸으나 아무리 유명해도 겨우 귀족들의 노리개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고 반란을 일으킵니다. 처음에는 70명 검투사들과 시작했지만 여기에 노예들이 합세하여 그 규모는 7만 명에서 10만 명 이상이 참여한 대규모 반란으로 이어집니다. 스파르타쿠스의 반란군은 노예 매매와 검투사 경기 등으로 검은 부를 쌓은 크라수스에 의해 진압되고 크라수스의 진압 군은 반란군들을 무참하게 학살하고 십자가 형으로 매달게 됩니다. 그 가운데서 도망간 남은 세력들은 결국 폼페이우스 군대에 의해 완전히 진압되어 스파르타쿠스의 난은 2년 만에 종결됩니다. 스파르타쿠스의 난 후로도 한동안 검투사 경기는 계속 되는데 종종 기독교인들이 검투사 경기의 잔인 성과 폭력성을 폭로하기도 합니다. 이후 기독교가 로마의 종교가 된 4세기 이후 콘스탄티누스 대제에 의해 검투사 경기는 폐지되고 검투사 양성소도 사라지게 됩니다. 2. 로마 이야기 BC 60년 경 로마에는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등장하여 군사 천재인 폼페이우스와 그 시대의 최고의 부자였던 크라수스를 끌어들여 제 1차 삼두정...

3차 포에니 전쟁

이미지
 2차 포에니 전쟁이 로마의 승리로 끝났지만 한 사람의 영웅을 만들어 내었지요? 바로 카르타고의 한니발 이었습니다. 그러나 카르타고는 철저히 패하고 영웅 한니발도 죽었습니다. 로마의 허락 없이는 전쟁을 할 수 없게 된 카르타고인데 로마와 카르타고의 3차 포에니 전쟁은 어떻게 일어나게 된 걸까요? 1. 3차 포에니 전쟁 카르타고는 2차 포에니 전쟁에서 패한 댓가로 1차 때 보다 훨씬 많은 전쟁 배상금을 물어야 했습니다. 그리고 로마의 허락이 없이는 어떤 이유로 누구와도 전쟁을 해서는 안된다는 조약을 맺었습니다. 사실상 카르타고의 모든 군대를 해산했다고 보아야 합니다.  그런데 카르타고 바로 옆에 누미디아가 있었습니다. 누미디아는 카르타고의 동맹국으로 전쟁 때마다 용병들을 지원했습니다. 그런데 누미디아가 보니 자신들을 꽉 잡고 있던 카르타고가 로마에게 꼼짝 못하는 것입니다. 누미디아는 때를 놓치지 않고 카르타고로 부터 독립을 위해 도발합니다. 로마와의 약속 때문에 꾹 참고 있던 카르타고는 자꾸 도발하는 누미디아를 참고 참다가 어쩔 수 없이 맞서게 됩니다. 누미디아는 바로 이 때를 기다린 것입니다. 로마의 도움으로 자신들이 독립을 꾀하려는 것이었습니다. 카르타고가 누미디아를 상대로 전쟁을 한 사실을 알게 된 로마는 왜 조약을 어겼느냐고 꼬투리를 잡으며 카르타고를 침공합니다.  2. 역사에서 사라진 카르타고 2차 포에니 전쟁 시 한니발의 대륙 침략으로 인해 엄청난 피해를 입은 로마는 한니발의 나라 카르타고에 불만이 많았습니다. 카르타고를 침범한 로마는 그 동안 참고 있었던 속내를 군대만이 아닌 카르타고에 사는 일반 시민들까지 참혹하게 학살하면서 드러냅니다.  당시 카르타고 시민이 25만 명 정도 였다고 하는데 그중 20만 명은 로마 군에 의해 죽고 살아남은 5만 명은 어린아이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모두 노예로 팔아버렸습니다. 한 때 지중해를 주름 잡으며 번영을 누리던 페니키아인들이 세운 카르타고는 이렇게 로마에 의해 철저하게 파괴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