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의 모형 성막2(성소와 지성소)

 4가지의 덮개로 덮여진 성소는 거룩한 장소로 하나님이 보좌를 의미합니다. 성소는 이동이 가능합니다. 긴 널판을 이어서 만들었으며 가로는 30규빗, 넓이는 10규빗, 높이 10규빗입니다. 성소안에는 또 다른 10규빗의 정사각형 방을 만들고 이곳을 지성소라고 합니다. 하나님이 임재하시는 거룩한 장소입니다. 1. 성소에는 무엇이 있을까? 성소에 들어서면 오른쪽으로 떡상이 놓여 있고 왼쪽으로 일곱 개의 금촛대가 있으며 문에서 마주 보는 가운데에는 금향단이 있고 그 뒤로 휘장이 드리워져 있습니다. 1) 떡상 진설병을 두는 상은 길이 2규빗, 넓이 1규빗, 높이 1.5규빗으로 12개의 무교병이 진설됩니다.  이 떡은 안식일마다. 새로운 떡으로 바꾸어 놓았고 이 떡상은 신 광야의 만나를 형상화 했으며 생명의 떡이 되시는 예수님을 상징하기도 합니다.  출 25:23 너는 조각목으로 상을 만들되 길이는 두 규빗, 너비는 한 규빗, 높이는 한 규빗 반이 되게 하고 출 25:24 순금으로 싸고 주위에 금 테를 두르고 출 25:30 상 위에 진설병을 두어 항상 내 앞에 있게 할지니라 2) 등잔 대 등잔 대는 금촛대라고도 하는데 살구 꽃 형상으로 만들었습니다. 원어로는 '솨케드' 라고 하는데 이는 '지켜보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의 등불이 되어 비추고 계심을 말합니다. 출 25:31 너는 순금으로 등잔 대를 쳐 만들되 그 밑판과 줄기와 잔과 꽃 받침과 꽃을 한 덩이로 연결하고 출 25:34 등잔 대 줄기에는 살구 꽃 형상의 잔 넷과 꽃 받침과 꽃이 있게 하고 출 25:36 그 꽃 받침과 가지를 줄기와 연결하여 전부를 순금으로 쳐 만들고 요한계시록에서 일곱 금촛대는 일곱 교회를 말하고 일곱 등불은 성령을 말합니다. 3) 금향단 성소 가운데 지성소 휘장 앞에 놓인 금향단은 길이가 1규빗, 넓이가 1규빗으로 네모 반듯하고 높이가 2규빗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금향단을 성소안 떡상이나 등잔 대를 만들 때 같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성소 ...

알렉산더와 헬레니즘 문화

세계사에서 헬레니즘 시대는 BC 334년 알렉산더가 페르시아를 점령한 그때를 시작으로 하여 로마의 삼두 정치의 세 사람 중의 한 명인 옥타비아누스가 BC 31년 악티움해전에서 자신을 배신하고 자신의 여동생마저도 버리고 이집트의 클레오파트라에게 간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 연합군을 격파합니다. 이것으로 이집트의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로마에 무너지고 알렉산더 이후 프톨레마이오스 왕조가 이어온 300여 년 간 문화를 헬레니즘 문화라고 봅니다. 


1. 헬레니즘 문화

헬레니즘 이라는 말은 독일의 역사가  요한 구스타프 드로이젠의 [알렉산드로스대왕의 역사, 1836]를 통해 처음 등장한 용어입니다. 고대 그리스를 동경한 알렉산더가 정복 전쟁과 더불어 자신이 정복한 모든 지역에 그리스 문화를 전파하여 그리스 정신과 오리엔탈 정신을 하나로 융합한 범 세계적  문화를 일컬어 그리스적 문화 헬레니즘 문화라고 하였습니다.
헬레니즘 문화는 그리스어가 공용어로 사용되었고 화폐도 그리스 화폐가 사용되었습니다.

헬레니즘 시대에는 개인의 욕망을 자제하고 이성을 강조하는 스토아 학파가 성립하였습니다.
또한 개인의 행복을 위해 마음의 안정과 만족을 추구하는 에피쿠로스 학파가 성립하였는데 이것은 인간의 행복을 위해서는 육체의 감각의 즐거움을 배제하지 않고 함께 추구하였기에 
쾌락 주의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자연 과학 부분도 많이 발전하였습니다.
수학의 에우클레이데스(유클리드)의 기하학 체계를 수립하였고 
물리학에서는 아르키메데스가 부력의 원리를 발견하였습니다. 
천문학에서는 에스토스테네스가 지구의 자외선을 측정하였으며 세계 지도를 만들었습니다.
또한 아리스타르코스는 태양이 우주의 중심에 있다는 태양 중심설을 주장하였고 지구는 태양 둘레를 하루에 한 번  자전하며 1년에 한 번 태양을 공전한다고 주장하는 학설을 내세우기도 했습니다.
의학에서는 인체 해부학이 발달했으며 
예술 분야에서는 조각이 발달하여 밀로의 비너스상 사모트라케이 니케상(나이키),
미술은 동서 교류를 따라 북 인도 지역에 전파되어 간다라 미술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2. 헬레니즘 전파자 알렉산더가 죽다.

이렇게 헬라 문화를 퍼뜨리던 알렉산더의 원정 전쟁이 인도의 인더스 강 유역에서 원정을 중단해야 했습니다. 오랜 전쟁과 원정에 지친 군인들이 더 이상 종군을 거부한 것입니다. 결국 인도 원정을 중단하고 돌아오던 BC 323년에 알렉산더는 32세의 젊은 나이에 원인 모를 병으로 죽게 됩니다. 어떤 이는 말라리아에 걸렸을 것이다. 또 어떤 이는 차가운 물에 목욕하고 난 후에 열병으로 죽었을 것이다 등 소문이 무성합니다. 너무 갑작스런 죽음으로 후계자도 없었습니다. 

3. 20대에 왕이 된 알렉산더와 솔로몬을 비교해 볼까?

마케도니아의 왕 필립포스는 자신의 아들 알렉산더에게 정복과 전쟁 하는 것을 알려주었습니다. 그 반면 이스라엘의 2대왕인 군사 천재 다윗은 그의 아들 솔로몬에게 왕위를 물려주면서 군사 전략은 하나도 가르치지 않았습니다. 다윗이 솔로몬에게 가르쳐 준 것은 "하나님의 명령을 지켜 그 길로 행하여 그 법률과 계명과 율례와 증거를 모세의 율법에 기록된 대로 지키라" 였습니다.
출 19:5 세계가 다 내게 속하였나니 너희가 내 말을 잘 듣고 내 언약을 지키면 너희는 모든 민족 중에서 내 소유가 되겠고
출 19:6 너희가 내게 대하여 제사장 나라가 되며 거룩한 백성이 되리라 이 말을 이스라엘 자손에게 전할 지니라

같은 20대의 솔로몬은 다윗에게서 제사장 나라 이스라엘을 물려받았고 
20대의 알렉산더는 아버지로부터 마케도니아와 제국의 야망을 물려받았습니다. 
솔로몬과 알렉산더의 아버지 다윗과 필립포스는 각각 당시에 가장 뛰어난 군사 전략을 가지고 있었던 왕이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아버지로부터 배운 노하우는 여러가지 면으로 많이 달랐습니다. 
결과로 알렉산더는 제국의 나라로 갔으며 솔로몬은 제사장 나라로 갔기 때문입니다. 
알렉산더는 약 10여 년 동안 오로지 정복 전쟁을  하다가 전쟁터에서 죽었습니다. 솔로몬은 40년 간을 재위 하면서 잠언서 아가서 전도서를 기록할 만큼 온갖 부와 장수를 누렸습니다.

우리는 우리의 자녀들에게 무엇을 물려주어야 할까요?
이 세상을 살아갈 지혜인가요? 하나님을 경외 할 지혜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