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 여호수아 11장 - 메롬 물 가 전투

  – 여호수아의 북부 가나안 정복, 그 치열했던 현장으로 가나안 정복의 역사는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땅을 향해 나아가는 여정입니다. 그 여정 속에서도 **‘메롬 물가 전투’**는 중요한 분기점이 된 전투입니다. 남부 가나안 정복에 이어, 북부 지역의 강력한 연합군을 상대하며 완전한 지배권을 확보하는 계기 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1. 전투가 벌어진 곳: 메롬 물가 ‘메롬 물가’는 현재 이스라엘 북부, 갈릴리 북쪽의 평야 지대로 추정됩니다. 당시에는 물과 초지가 풍부한 곳 으로, 대규모 군대가 주둔하기 좋은 전략적 장소였습니다. 북부 가나안의 중심 도시였던 하솔 왕 야빈 이 이곳에 여러 왕들을 불러들였습니다. “하솔 왕 야빈이 이 말을 듣고, 마돈 왕, 시므론 왕, 악삽 왕과 북쪽 산지와 기네롯 남쪽 아라바 평지와 … 많은 왕들에게 사람을 보내어 그들과 함께 싸우고자 하매…” — 여호수아 11:1~3 2. 전투의 배경: 북부 연합군의 등장 이스라엘의 빠른 정복에 위협을 느낀 북부 가나안 왕들은 대규모 동맹군 을 구성합니다. 하솔은 이 당시 가나안에서 가장 강력하고 큰 성읍이었으며, 군사, 정치, 문화의 중심지 였습니다. “그들이 나온 것은 백성이 많아서 해변의 모래같이 많고, 또 말과 병거도 심히 많았으며” — 여호수아 11:4 북부 연합군은 수많은 병거와 기병을 앞세워 이스라엘을 압도하려 했습니다. 3. 하나님의 말씀, 그리고 여호수아의 용기 수적으로, 무기적으로 열세였던 이스라엘. 하지만 여호수아는 다시 한번 하나님의 음성 을 듣습니다. “그들로 말미암아 두려워하지 말라. 내일 이맘때에 내가 그들을 이스라엘 앞에 넘겨주어 다 죽이게 하리니, 너는 그들의 말 뒷다리를 끊고 병거를 불사르라.” — 여호수아 11:6 이 말씀을 믿은 여호수아는 지체하지 않고 선제 공격을 감행 합니다. 👉 하나님은 전쟁의 숫자나 병력보다,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는 자를 통해 승리를 이루십니다. 4. 전투의 진행: 기습과 ...

26. 여호수아 - 이스라엘의 가나안 정복 이야기

이미지
  - 여리고, 아이 성, 그리고 해와 달이 멈춘 날까지(6장~10장) 이스라엘 백성들이 요단강을 건너 가나안 땅에 들어선 후, 본격적인 정복 전쟁이 시작됩니다. 여호수아의 리더십 아래,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지시와 인도로 하나씩 가나안의 성들을 정복해 나갑니다. 이 과정에서 특별하고도 놀라운 사건들이 이어집니다. 1. 여리고 성 정복: 순종이 만든 기적 (여호수아 6장) 가나안에서 이스라엘이 처음 마주한 성은 여리고 였습니다. 높고 두터운 성벽에 둘러싸인 여리고 성.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특이한 방법을 명령하셨죠. "너희 모든 군사는 그 성을 둘러 하루에 한 번씩, 여섯 날 동안 그리하고, 일곱째 날에는 일곱 번 돌라" ( 여호수아 6:3-4 ) 마지막 날, 성을 일곱 바퀴 돈 후 제사장들이 양각나팔을 불고, 백성들이 일제히 큰 소리로 외쳤습니다. 그 순간, 견고하던 성벽이 무너졌습니다. "백성이 외칠 때에 성벽이 무너져 내린지라" ( 여호수아 6:20 ) 하나님의 약속대로, 정탐꾼을 도운 기생 라합과 그 가족만이 살아남았고 , 모든 것은 하나님께 바쳐졌습니다. 2. 아이 성 정복: 실패와 교훈, 그리고 승리 (여호수아 7~8장) 여리고에서의 큰 승리 후, 여호수아와 백성들은 의기양양하게 아이 성 을 향했습니다. 그러나 충격적인 일이 벌어집니다. 적은 수의 병사만 보내도 될 것 같았던 작은 성, 아이에서 이스라엘이 패배 한 것입니다. "이스라엘이 범죄하여... 나의 언약을 어겼으며..." ( 여호수아 7:11 ) 아간이라는 사람이 여리고에서 하나님께 바쳐야 할 물건을 몰래 숨긴 죄 때문이었습니다. 죄가 밝혀지고 아간과 그의 가족이 처형된 후, 하나님께서 다시 길을 열어주셨습니다. 하나님은 여호수아에게 새로운 전략을 주셨습니다. 바로 매복 작전 입니다. "아이 성 뒤에 매복할 자를 두라" ( 여호수아 8:2 ) 이스라엘 군대는 일부를 매복...

25. 여호수아 -약속의 땅을 향한 첫걸음(“Joshua – The First Step Toward the Promised Land”)

이미지
 Joshua Chapters 1–5 "Moses completed his ministry by conquering the land east of the Jordan, but the task of conquering Canaan was entrusted to his successor, Joshua." 🎬 Part 1: A New Leader – Joshua (Joshua 1) After the death of Moses, God appointed Joshua to lead the Israelites into the Promised Land. Though Joshua had served under Moses for many years, leading the entire nation was a completely new and weighty responsibility. God spoke directly to Joshua: 📖 “Moses my servant is dead. Now therefore arise, go over this Jordan, you and all this people, into the land that I am giving to them, to the people of Israel.” (Joshua 1:2, ESV ) God encourages him again and again: 📖 “Be strong and courageous, for you shall cause this people to inherit the land that I swore to their fathers to give them.” (Joshua 1:6) But strength alone was not enough. Obedience to God's word was the foundation. 📖 “This Book of the Law shall not depart from your mouth, but you shall ...

24. 역사특강 신명기

이미지
  📖 신명기: 모세가 전한 마지막 역사특강 – 가나안을 앞둔 이스라엘 2세대에게 주는 유언과 교훈 – 신명기는 이스라엘 백성이 출애굽한 후 40년이 지나, 가나안 땅을 눈앞에 둔 시점에서 모세가 이스라엘의 **‘2세대’**에게 전한 설교집이다. 출애굽 1세대는 광야에서 불순종으로 거의 다 죽었고, 이제 남은 새로운 세대가 약속의 땅에 들어가게 되었다. 모세는 그들에게 과거를 돌아보게 하고, 하나님의 율법을 되새기며, 미래에 어떤 삶을 선택해야 하는지를 강조한다. 이 설교는 단순한 율법 나열이 아니라, 역사를 통한 교훈, 사랑의 권면, 영적 유언 이라 할 수 있다. 1. 지나온 광야의 역사 – “하나님이 여기까지 인도하셨다” (신명기 1~4장) 모세는 먼저 이스라엘 백성이 출애굽한 이후 겪은 여정을 되돌아본다. 홍해를 건넌 후 시내산에서 하나님의 율법을 받고, 가데스 바네아에서 정탐꾼의 부정적인 보고로 인해 믿음을 잃고 광야를 40년간 떠돌아야 했던 사건을 상기시킨다. 하나님은 불신과 불순종을 책망하셨지만, 동시에 만나를 내려주시고, 옷과 신발이 해어지지 않게 하시며 그들을 돌보셨다. 모세는 이 과정을 통해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공의, 그리고 은혜 를 강조한다. 백성들은 이 역사를 통해 ‘하나님을 신뢰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배워야 한다. 실패의 역사를 잊지 말고, 똑같은 잘못을 반복하지 말라는 것이다. 2. 하나님의 말씀을 마음에 – “율법은 생명이다” (신명기 5~26장) 신명기의 중심은 바로 이 부분이다. 모세는 십계명을 다시 선포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상생활에서 실천해야 할 율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단락에서는 특히 하나님을 사랑하라는 명령이 강조되며, 유대 전통에서 가장 중요한 구절로 여겨지는 **쉐마(Shema, 신 6:4-9)**가 등장한다. “이스라엘아 들으라! 우리 하나님 여호와는 오직 하나인 여호와시니 너는 마음을 다하고 뜻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여호와를 사랑하라.” 이 율법은 단순한 종교적 규칙이 아니라...

23. 민수기- 광야생활1

이미지
 민수기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광야 생활 40년 중 36년 이상을 기록한 책입니다. 1장과 26장의 인구조사로 인해 사람들에게 이해하기 쉽도록 70인경을 헬라어로 번역할 때 '민수기'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1. 인구조사 출애굽기는 고센에서 시내산까지, 레위기는 시내산에서 받은 율법 이야기, 민수기는 시내산에서 모압 평지까지, 신명기는 모압 평지에서 기록 되었습니다. 민수기는 광야와 같은  생활을 하는 성도의 삶을 말하고 있습니다. 구원 받은 백성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말해주는 책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의 광야의 이동 경로로 많은 장소들을 말하고 있지만 그곳이 어디인지는 정확히 알 수가 없습니다. 민수기의 광야와 신명기가 알려주는 광야의 장소가 서로 다르게 표현된 곳도 많기 때문입니다.  민수기 1장은 시내산에서 애굽에서 나온 이스라엘 백성들의 장정의 수를 지파별로 기록하고, 26장에서는 광야 생활을 마친 후 모압 평지에서 2세대들의 인구를 조사한 것입니다. 모압 평지에서의 인구 조사는 1차 조사를 하고 광야를 거치는 동안 애굽에서 나온 20세 이상의 장정은 모두 죽고 그들의 후손들을 계수한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민 1:2 너희는 이스라엘 자손의 모든 회중 각 남자의 수를 그들의 종족과 조상의 가문에 따라 그 명수 대로 계수 할 지니 민 1:3 이스라엘 중 이십 세 이상으로 싸움에 나갈 만한 모든 자를 너와 아론은 그 진영별로 계수하되 민 1:46 계수 된 자의 총계는 육십만 삼천 오백 오십 명이었더라 민 26:2 이스라엘 자손이 온 회중의 총수를 그들의 조상의 가문을 따라 조사하되 이스라엘 중에 이십 세 이상으로 능히 전쟁에 나갈만한 모든 자를 계수하라 하시니 민 26:51 이스라엘 자손이 계수 된 자가 육십만 천 칠백 삼십 명이었더라 지파별로 보면 요셉 지파와 아셀 지파는 인구가 많이 늘었고 시므온 지파는 시내산에서 계수 할 때는 유다와 단 지파의 뒤를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인구를 가졌었으나 광야를 지나면서 음란과 우...

22. 성경의 7대 절기

이미지
레위기 23장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지켜야 할 여러 절기를 말씀하고 있습니다.  * 성경의 7대 절기 출 23:14 너는 매년 세 번 내게 절기를 지킬 지니라 출 23:15 너는 무교병의 절기를 지키라 내가 네게 명령한 대로 아빕월의 정한 때에 이레 동안 무교병을 먹을 지니 이는 그 달에 네가 애굽에서 나왔음이라 빈 손으로 내 앞에 나오지 말 지니라 출 23:16 맥추절을 지키라 이는 네가 수고하여 밭에 뿌린 것의 첫 열매를 거둠이니라 수장절을 지키라 이는 네가 수고하여 이룬 것을 연말에 밭에서 부터 거두어 저장함이니라 출 23:17 네 모든 남자는 매년 세 번씩 주 여호와께 보일 지니라 이스라엘에서 유월절, 오순절, 초막절은 3대 명절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유월절 은 무교절과 초실절, 오순절 로 이어지며 초막절 은 나팔절, 속죄일과 연결됩니다. 그리하여 이 모든 명절을 성경의 7대 절기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의 유월절, 초막절은 우리나라의 설날, 추석과 날짜가 비슷합니다. 특히 초막절은 우리의 추석과 같이 음력으로 같은 날짜에 해당합니다. 단 이스라엘의 음력은 우리 나라보다 1개월이 빠르기 때문에 우리의 추석이 음력 8월 15일이라면 이스라엘의 초막절은 유대력으로 음력 7월 15일이 됩니다. 7대 절기를 순서대로 알아볼까요? 1) 유월절 (유대력 음력 1월 14일~대한민국 음력 2월 14일) 레 23:5 첫째 달 열나흗날 저녁은 여호와의 유월절이요 이스라엘 백성들이 애굽에서 나온 날을 기념하여 하나님이 직접 제정하신 구원의 날입니다. '넘어간다'의 뜻을 가진 유월절은 어린 양의 피가 문설주에 발라진 집은 구원 받았듯이 어린 양이신 예수님의 피로 우리는 죄 씻음 받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기념해 기독교인들은 고난 주간을 지킵니다. 유월절 제사가 화목제인 것처럼 예수님이 대신 영원한 화목제물로 죽으신 것을 기념합니다. 고전 5:7 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 되셨느니라 2) 무교절(유대력 음력 1월 15일) 유...

21. 제사 - 예배를 말한다.

이미지
 제사는 예배입니다. 하나님 앞에 제사를 위해서는 먼저 희생 제물이 준비되어야 합니다. 제사 지낼 사람은 제물을 가지고 성막 문으로 갑니다. 성막 문을 들어가 먼저 제사장 앞에서 제물의 머리 위에 손을 얹고 자신의 죄를 전가 하며 자신을 죽을 자로 인정하고 죄를 고백하며 안수 합니다.  레 1:4 그는 번제물의 머리에 안수 할 지니 그를 위하여 기쁘게 받으심이 되어 그를 위하여 속죄가 될 것이라 이렇게 안수 한 후에는 그 제물을 자기 손으로 직접 잡습니다. 레 1:11 그가 제단 북쪽 여호와 앞에서 그것을 잡을 것이요 아론의 자손 제사장들은 그것의 피를 제단 사방에 뿌릴 것이며 레 1:12 그는 그것의 각을 뜨고 그것의 머리와 그것의 기름을 베어낼 것이요 제사장은 그것을 다 제단 위의 불 위에 있는 나무 위에 벌여 놓을 것이며 자신이 칼에 찔리고 찢기고 피를 흘리고 죽어야 하는 것을 직접 제물을 죽이면서 보고 느끼며 회개 하는 것이지요. 이것은 내가 지은 죄로 제물이 죽듯이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께서 살이 찢기고 피를 흘려 대신 죽으신 것을 경험해야 하는 것입니다.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은 자가 나인 것을, 예수님의 피로 속죄함 받은 자가 나라는 것을 고백하며 예배를 드려야 하는 것입니다.  1. 온전하고 흠없이 드려야 하는 번제 (레 1:1-9, 6:8-13) 번제는 '올라간다. 오른다' 라는 히브리어 '오라' 입니다. 번제는 살과 뼈 기름과 피를 모두 다 태우는 제사를 말합니다. 번제에는 하나님께 생명을 드린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자신의 생명을 드리는 마음으로 소, 양을 드리는 것입니다. 하나님 앞에 모든 것을 드리는 헌신과 하나님과의 거짓 없는 만남을 위해 드리는 것입니다. 2. 하나님이 기억하시는 선물 소제 (레 2장, 6:14-23) 소제는 '하나님께 드리는 선물'이라는 의미의 히브리어 '민하' 입니다. 곡식으로 드리는 것으로 재산을 바친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모든 제사 중에서도 피...